1. '장기요양인정조사표'에 따라 작성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
2. '영역별 점수 합계'구함
3. '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'산정
4. 52개 항목 조사 결과와 영역별 100점 환산점수는 수형분석(Tree Regression Analysis)에 적용하여
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 후 합계를 구함
5. 장기요양인정점수의 합을 등급판정 기준에 의해 장기요양등급판정
1단계 :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결과
5개 영역별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의 판단기준 및 척도에 따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개 영역
(52개 항목)
|
조사항목별 판단기준 및 척도 |
조사결과 |
신체기능(12항목) |
기능자립정도 |
완전자립
부분도움
완전도움
|
1항목
6항목
5항목
|
2단계 : 영역별 점수 합계
1단계에서 실시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결과를 기초로 「영역별 조사항목 원점수표」에 의하여
해당 항목별 점수의 합을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* 완전자립, 예, 있음, 운동장애 없음, 관절제한없음 = 1점
* 부분도움, 불완전운동장애, 한쪽관절제한 = 2점
* 완전도움, 완전운동장애, 양관절제한 = 3점
영역 |
원점수 계산 |
영역별 원점수 |
신체기능 |
(1항목×1점)+(6항목×2점)+(5항목×3점) |
28점 |
인지기능 |
- |
0점 |
행동변화 |
- |
0점 |
간호처치 |
4항목×1점 |
4점 |
재활 |
(1항목×1점)+(3항목×2점)+(6항목×3점) |
25점 |
3단계 :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
2단계에서 계산한「영역별 점수 합계」에 의해 아래「영역별 100점 득점 환산표」에 따라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.
영역 |
영역별 원점수 |
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 |
신체기능 |
28점 |
61.71점 |
인지기능 |
0점 |
0점 |
행동변화 |
0점 |
0점 |
간호처치 |
4점 |
55.81점 |
재활 |
25점 |
70.53점 |
4단계 : 8개 서비스군별 장기요양인정 점수 산정 및 합계
1단계에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결과와 3단계에서 산출한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가지고 8개 서비스 군별 수형분석도에 적용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한 후 합을 구합니다.
8개 서비스군 |
장기요양인정 점수 |
① 청결
|
9.0
10.2
15.1
6.4
0.4
19.7
14.6
4.8
80.2
|
5단계 : 장기요양등급 결정
등급 |
장기요양인정 점수 |
1등급 |
95점 이상 |
2등급 |
75점 이상 ~ 95점 미만 |
3등급 |
55점 이상 ~ 75점 미만 |
등급 |
기능상태수준 |
최중증(1등급) |
* 와상상태로서 거의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상태
* 하루 종일 침대 위에서 생활하는 자로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와병상태
* 일상생활활동의 식사ㆍ배설ㆍ 옷 벗고 입기의 모든 활동에선 전적으로
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
|
중증(2등급) |
* 일상생활이 곤란한 중증의 상태
* 휠체어를 이용하지만 앉은 자세를 유지하지 못함
* 식사ㆍ배설ㆍ 옷 벗고 입기 등에서 다른 사람의 완전한 도움이 필요
*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 위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음
|
중등증(3등급)
|
* 상당한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상태
* 식사ㆍ배설ㆍ 옷 벗고 입기 등에서 다른 사람의 부분적 도움이 필요
|
|